박지원 국가정보원장 후보자가 군 복무 중에 대학을 다니고 제대 전에 졸업까지 했다는 '특혜 논란'이 불거졌습니다. 박 후보자는 당시 관행이었지만, 잘못된 일이었다고 사과했습니다.
박지원 국가정보원장 후보자는 지난 1965년 2월, 광주교대를 졸업했습니다.
두 달 뒤인 4월 군에 입대했고, 같은 해 7월 말부터 서울 용산 육군본부에서 당번병으로 근무했습니다.
그런데 자대 배치 한 달 뒤인 9월 초, 박 후보자가 단국대 상경대학 3학년에 편입한 사실이 드러났습니다.
군 복무 중에 서울 소재 대학을 다닌 것입니다.
SBS 취재진이 단국대 성적증명서를 확인한 결과, 박 후보자는 3학기를 다니며 63학점을 수강했습니다.
군 복무를 마치기 7개월 전에는 대학 졸업장도 받았습니다.
박 후보자는 부대장 허락을 받고 야간에만 학교를 다녔고 당시 관행이었다고 주장합니다.
하지만 박 후보자는 지난 2014년 야당 의원 시절 당시 문창극 총리 후보자에게는 이런 말을 했습니다.
[박지원/국가정보원장 후보자 (출처 : 2014년 6월 17일 CBS 라디오 인터뷰 中) : (문창극 후보자가) 군대 있으면서 1년 반 대학원 다닌 것도 오늘 아침에 밝혀지고 있지 않습니까? 대한민국 해군 장교가 1년 반간 무보직이다, 이런 것은 있을 수가 없는 거예요.]
논란이 거세지자 박 후보자는 오늘(15일) "이유 여하를 불문하고 군 복무 중 학교를 다닌 건 잘못된 일이고 송구스럽게 생각한다"는 입장을 추가로 밝혔습니다.
[하태경/미래통합당 의원 : 사병의 경우에 대학을 다니게 해주고 졸업하게 해준다? 극소수가 특혜를 받은 거죠.]
통합당은 내일 당내 자문단 회의에서 박 후보자가 국정원장으로 왜 부적격한지 밝히겠다며 총공세를 예고했습니다.
미래통합당이 박지원 국가정보원장 후보자의 군 복무 중 대학 재학 논란에 대해 “군대든, 대학이든 둘 중 하나는 가짜”라고 주장했다.10일 국회 정보위원회 소속인 하태경 통합당 의원은 당 국정원장 후보 청문자문단 회의에서 “당시 광주에서 김포 비행 편은 일주일에 2편이었고 기차로는 10시간이 걸린다”며 이같이 말했다.
박 후보자는 지난 1965년 4월15일 전라도 광주 소재 31사단에 입대해 1967년 9월23일 육군 병장으로 만기 전역했다. 특히 박 후보자는 군 복무기간 중인 1965년 9월1일부터 1967년 2월28일까지 단국대에 편입해 졸업까지 했다. 야당은 이를 두고 차로 10시간 걸리는 광주와 서울을 오가며 군 복무를 하고 대학을 졸업했다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주장했다.
하태경 의원은 “상식적으로는 (박 후보자가) 군대에 안 갔든지, 대학을 안 갔든지 둘 중 하나”라며 “특히 대학 졸업이 허위경력일 가능성이 큰데 이 경우 선거법 위반에 해당한다”고 말했다. 그는 “(박 후보자의 인사청문회를 통해) 더 면밀히 팔 것”이라며 “과거에 잘못이 있을 수 있지만 뉘우치고 반성하지 않고 계속해서 거짓을 끼고 인생을 허위경력으로 만든 것으로 확인된다면 국정원장을 맡는 것은 어려울 것 같다”고 덧붙였다.
송구하면 사퇴하면 되지요.
어려울것 없습니다. 무조건 제대로 하나 걸린것이니 다 내려놓으시면 되니까요.
저딴 인간을 국정원장에 앉히려했다? 하긴 서울시장을 맡겨줘도 비서 성폭행 의혹이나 있는 민주당인데 오죽할까요?
보수가 잘했다는게 아닙니다. 일안하고 혈세빨아먹는 니들도 쓰레기지요.
근데 민주당은 진짜로 사람새끼의 탈이 아닙니다. 명심하고 명심해야할건 저건 거르라는겁니다.
한국을 이민율 높여주는데 혁혁한 공헌을 하고있어 참 대단하단 생각이 드네요.
한편 박지원의 청문회 일정은 27일로 잡혀있다고 합니다.
일안하는 인간들인데 청문회는 어떻게 나올지 또 봐야 알지요.
'한국에서 살면 손해보는 이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재난지원금 결국 증세로. 文정부, 1년만에 감세 철회.. (0) | 2020.07.23 |
---|---|
"등에 칼 꽂는 제자 가만 안둬"..추가 피해 터진 최숙현선수 청문회 (0) | 2020.07.23 |
총선 전날밤 비서실 직원 성폭행···서울시는 '함구령' 내렸다 (0) | 2020.07.21 |
"못 사는 게 집주인한테"..LH 간부의 황당한 '갑질' (0) | 2020.07.21 |
"싫어요" 207번, 비명 15번..60대 교수의 성폭행은 그치지 않았다 (0) | 2020.07.17 |